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학개미들 패닉! 테슬라·엔비디아 주가 폭락, 이유는?

by IT 정보 TV 2025. 3. 9.
반응형

지난해 미국 증시는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에게 막대한 수익을 안겨주었습니다.

 

하지만 2024년이 시작되면서 분위기가 완전히 반전되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 테슬라와 엔비디아의 주가 폭락, 나스닥 하락세까지… 서학개미들의 투자 계좌가 녹아내리고 있습니다.

 

특히 테슬라는 연초 이후 34.8% 급락, 엔비디아 역시 한 달 만에 시가총액 6000억 달러 증발이라는 충격적인 결과를 맞았습니다.

투자자들은 “지금이라도 손절해야 하나?”라는 고민 속에서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 미국 증시가 폭락한 진짜 이유는 무엇일까요?
📌 테슬라·엔비디아 주가 하락이 일시적일까요, 아니면 본격적인 하락장이 시작된 걸까요?

 

지금부터 미국 증시의 급락 원인과 앞으로의 전망을 자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

📉 테슬라, 연초 대비 34.8% 하락… 실적 둔화 우려

국내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매수한 해외 주식인 **테슬라(TSLA)**는 올해 들어 34.8% 급락했다. 지난해 말 1주당 400달러까지 올랐던 테슬라 주가는 현재 200달러 중반대에 머물고 있다.

테슬라 주가 하락의 원인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꼽힌다.

  1. 일론 머스크 CEO의 정치적 행보에 대한 반감
    • 머스크는 트럼프 행정부와 가까운 인물로 평가되며, 그의 정치적 행보가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2. 중국 BYD와의 경쟁 심화
    • 전기차 시장에서 중국 BYD가 글로벌 판매량에서 테슬라를 앞서면서, 테슬라의 성장성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

🔻 엔비디아, AI 독점 지위 흔들리며 17.7% 하락

서학개미들이 선호하는 또 다른 종목인 엔비디아(NVIDIA) 역시 올 들어 17.7% 하락했다. 특히 AI 반도체 시장에서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떠오르면서 엔비디아의 독점 구도가 완화될 것이란 전망이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엔비디아는 최근 호실적을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한 달 만에 시가총액이 6,000억 달러 증발하는 등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 나스닥 7.5% 하락… '매그니피센트7'도 급락

뉴욕 증시는 지난해 연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20% 이상의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많은 서학개미들이 국내 증시를 떠나 미국 주식 투자에 뛰어들었고, 현재 국내 투자자의 미국 주식 보유 규모는 약 165조 원에 달한다.

하지만 올 들어 뉴욕 증시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S&P500 지수: 2.4% 하락
  • 나스닥 지수: 7.5% 하락

특히 **미국 대형 기술주 '매그니피센트7(M7)'**이 큰 타격을 입으면서 서학개미들이 집중 투자한 빅테크 기업들의 주가도 동반 하락했다.


⚠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투자 심리 위축시켜

지난 6일,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나스닥은 2.61% 급락했다. 이는 2023년 11월 이후 최대 하락폭이다.

특히 트럼프가 캐나다·멕시코산 수입품에 대한 25% 관세를 유예하기로 결정했지만, 시장에서는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투자자들은 "미 정부의 오락가락하는 정책이 증시를 흔들고 있다"며 불안감을 드러냈다.

🔸 해외 주식 투자자들의 반응

  • "테슬라 수익률 -20%… 손절해야 할까요?"
  • "트럼프 때문에 미장이 다 망했다"
  • "계좌가 녹았다… 바닥이 어디인가?"
  • "지금이 오히려 추가 매수 기회다"

📉 스태그플레이션 우려와 높은 밸류에이션 부담

증권가에서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스태그플레이션(고물가 속 경기 침체) 우려를 키우고 있다고 분석했다.

🔹 김승혁 키움증권 연구원 분석

  • "2월 소비자 신뢰지수가 2021년 8월 이후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 "트럼프의 관세 부과 정책이 물가 상승을 자극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커졌다."
  • "이미 높은 밸류에이션 부담이 있었던 미 증시에서 하락 속도가 더욱 빨라졌다."

🔹 서정훈 삼성증권 연구원 분석

  • "뉴욕 증시는 관세 정책 불확실성과 경기 둔화 우려가 지속되면서 하락했다."
  • "시장에서는 미국 정부의 무역 정책에 대해 경계감을 키우고 있는 상황이다."

🚀 서학개미들의 대응 전략은?

최근 미국 증시의 하락세가 계속되면서 서학개미들은 크게 두 가지 대응 전략을 보이고 있다.

  1. 추가 하락을 우려하며 손절하는 투자자들
  2. "오히려 저가 매수 기회"라며 적극 매수하는 투자자들

현재 시장의 변동성이 큰 만큼, 신중한 투자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무역 정책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계속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관련 뉴스를 면밀히 분석하고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할 것이다.

반응형